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아무리 상위 노출을 해도 정작 광고 관리를 못하면
고객들은 구매를 안 하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키워드를 많이 추가하고 품질 지수 관리 같은
뻔한 관리를 얘기하는 게 아닙니다.
누가, 몇 시에, 어떤 기기로, 뭘 검색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상황에 맞춰서 관리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를
상위 노출만 믿고 돌릴 때 생기는 문제부터
실제 매출로 이어지게 만들기 위해 봐야 할 데이터.
그 데이터를 이용해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하는지.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매출 올릴 자신 없으면 광고 안 하는
쇼핑몰 전문 대행사 셀레버리지입니다.
많은 대표님들이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를 하면
1등에 떠있으니까 노출, 클릭도 많이 받고
매출도 그만큼 오를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막상 결과는 이렇습니다.
- 클릭은 되는데 구매는 안 됩니다.
- 광고비는 나가는데 매출은 그대로입니다.
- 최악의 경우, 클릭조차 안 합니다.
사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광고 위치만 생각하고
정작 클릭한 사람이 누구인지까지는 안 보셨기 때문입니다.
핵심은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가
100% 사람이 관리하는 광고라는 점입니다.
시간대에 따라서 노출량을 조절하고,
사용자 관심사에 따라 보이는 광고가 다른
인스타 광고처럼 AI가 다 알아서 해주지 않는다는 거죠.
누가, 언제, 무엇을 검색할지
직접 예측하고 조절해야 하는 수동 광고입니다.
그래서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 관리가 안 되면
- 광고는 아무 데나 노출되고
- 고객은 상품을 클릭해도 구매까지 안 가고
- 광고비만 조용히 사라지는 구조가 됩니다.
광고비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로
매출을 올리고 싶다면 딱 아래 3가지만 먼저 체크해보세요.
(특히 2번째, 3번째는 정말 중요하니까 반드시 확인해 보세요.)
1. 어떤 기기로 보고 있는가?
상품에 따라 고객이 구매하는 기기가
모바일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도, PC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사무실 비품이나 작업복 같은 B2B 상품, 누가 어디서 구매할까요?
당연히 회사 직원이, 업무 중에 PC로 검색해서 주문합니다.
빠르게 비교하고, 법인 카드로 결제해야 하니까요.
그런데 광고를 pc, mo 모두 비슷하게 나가고 있다면?
성과가 아예 없진 않겠지만,
구매 확률이 높은 pc에 집중했다면
같은 광고비로 훨씬 더 많은 결과를 만들 수 있었겠죠?
모든 상품이 모바일 중심일 거라는 생각,
생각보다 큰 광고비 낭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언제 많이 구매하는가?
광고는 '언제' 보여주느냐가 정말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B2B 상품은 언제 많이 구매할까요?
당연히 회사 근무 시간대, 9~18시 사이가 중요하게겠죠?
반대로 일반 의류, 식품 같은 쇼핑몰들은 언제 많이 구매할까요?
많은 분들이 퇴근 후 저녁 7~11시 사이라 생각하지만,
의외로 오전 10시부터 00시까지 꾸준히 팔리는 편입니다.
잠이 든 시간부터 출근 준비, 출근 중 시간인
01시부터 09시까지 구매율이 떨어지는 편이죠.
시간만 고려해야 하면 다행입니다.
쇼핑몰은 요일에 따라 구매율도 크게 차이 납니다.
실제로 월~목요일은 구매율이 높은 반면,
금~토+일요일은 구매율이 현저히 낮아집니다.
(크게 차이 날 때는 2배 이상 차이 납니다.)
왜 이렇게 구매율에서 차이가 날까요?
똑똑하신 분들은 눈치채셨겠지만,
바로 배송 때문입니다.
그나마 쿠팡의 로켓배송 덕분에
요즘에는 금토일에도 구매하시는 분들도 조금 생겼지만,
여전히 금토일에 구매하는 비중은 적습니다.
당연하죠. 금요일이나 토요일에 구매하면
배송받는 데까지 시간이 더 걸리니까요..
대표님이 금토일에도 로켓 배송을 할 수 있다!
하시면 월~일 모두 광고비를 골고루 사용하셔도 좋지만,
그게 아니라면 광고비는 월~목에 집중하는 게 좋겠죠?
3. 무슨 키워드로 고객이 들어오고 있는가?
"검색량 많은 키워드로 돌리면 되지 않나요?"
"일단 최대한 많은 키워드를 등록해도 되지 않나요?"
많은 대표님들이 오해하시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의 키워드는
어떤 고객을 유입시킬지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키워드마다 구매 확률이 높은 고객이 들어올 수도
구매 확률이 매우 낮은 고객이 들어올 수도 있다는 거죠.
예를 들어볼게요.
'레깅스 추천', '레깅스코디'
이런 키워드를 검색하는 고객은 정보를 찾는 고객의 비중이 높습니다.
반면, '기모레깅스', '빅사이즈레깅스'
이런 키워드를 검색하는 고객은 정보를 찾기 보다,
구매할 상품을 찾는 고객의 비중이 훨씬 높죠.
같은 광고비를 써도,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고객이
검색할 만한 키워드에 집중하는 것.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의 핵심입니다.
물론 저희가 오늘 말씀드린 방법이
'우리가 무조건 정답이다!' 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저희와 또 다른 방법으로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를 해서
성과를 내신 분들도 있으시니까요.
하지만 적어도 광고비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
선택과 집중만큼 중요한 건 없습니다.
모든 키워드 상위 노출하고 매출 나오길 기다리기
vs
구매율 높은 키워드, 기기, 시간/요일 분석해 집중하기
대표님은 어떤 선택을 하실 건가요?
만약, 더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문의를 남겨주세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검색광고, 상위 노출해도 매출 안 오르는 이유 - 글을 마치겠습니다.
'온라인 광고 > 네이버 광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키워드 광고 비용, 적을수록 ㅇㅇㅇㅇ에 집중하세요 (0) | 2025.09.12 |
---|---|
네이버 검색광고, 직접 하기 vs 대행 맡기기 (0) | 2025.09.05 |
스마트스토어 메타 광고, 이걸 모르니까 매출도 없죠.. (픽셀, nt 파라미터 총정리) (0) | 2025.09.02 |
법률마케팅, 3개월 뒤 로펌 매출이 곤두박질치는 결정적 한 방 (4) | 2025.07.28 |
네이버 검색광고, 광고비 많이 쓰면 무조건 좋을까? (7)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