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메타 비즈니스 파트너 대행사, 마케팅레버리지입니다.
페이스북광고비용이 당장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페이
스북광고비용은 콘텐츠 1개당 2만 원대면 충분합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업로드했던 영상과 칼럼이 있어서 참고 부탁드리겠습니
다. (상품 가격이 100만 원이 넘어간다면 가격에 3%를 기준으로 잡아주세요!)


메타 광고 비용, 쇼핑몰이면 ㅇ만 원으로 시작하세요. (인스타, 페이스북)
네이버에 '메타 광고 비용', '인스타 광고 비용' 검색하면 처음부터 광고마다 하루에 ...
blog.naver.com
인스타 페북 광고하느라 읽을 시간 없으신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요약해 드리겠습
니다.
페이스북 광고 비용 콘텐츠당 2만 원이면 충분한 이유는, 광고로 1,000명에게 보
이는데 필요한 광고비가 약 2만 원이기 때문입니다.
콘텐츠 1개당 1,000명에게 보여주고 성과 나면 광고 예산 늘리기, 성과 안 나면 끄
고 다른 콘텐츠로 테스트하기. 이 과정을 반복해서 터지는 콘텐츠들을 최대한 많이
찾는 게 핵심인 거죠.
(1,000명이 봐도 안 사는 콘텐츠는 10,000명이 봐도 안 살테니까요..)



과거 메타는 정교한 타겟팅이 가능하고 현재만큼 메타 광고하는 사람도 많지 않았
습니다. (당시에는 네이버 광고 위주로 했죠.) 덕분에 ROAS(광고수익률)가 굉장
히 좋았고 하루에 메타광고비용 1~2만 원 써도 충분한 성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21년 4월 IOS 14.5 업데이트 이후로 정교한 타겟팅은 사
실상 불가능해졌거든요. 심지어 당시에 비해 온라인 사업을 하시는 대표님들도 급
증했죠.
과거엔 경쟁자도 별로 없고 메타가 우리 상품을 사 줄 고객을 찾아줬다면, 현재는 경
쟁자도 많고 우리 상품을 사 줄 고객을 우리가 찾아야 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콘텐츠당 2만 원씩 테스트해야 한다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 상품이, 우리
콘텐츠가 팔릴지 안 팔릴지도 모르는데 최적화라는 이유로 페북 광고비용만 계속
쓰고 있다면?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거나 다를 바 없겠죠.
다양한 콘텐츠를 알맞은 예산에 맞춰서 테스트해야, 현재 매출이 안 나오는 이유가
콘텐츠 문제인지 상세페이지인지 상품인지 빠르게 알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광고비 절약을 위한 입찰 전략도 바꾸고요!)
인스타 광고 타겟이 의미 없는 이유 (ft. 구글 서드파티 차단 계획 철회)
2025년 4월,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에서 서드파티 쿠키 차단 계획을 전면 철회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와 광...
blog.naver.com

"페이스북광고비용이 콘텐츠 당 2만 원씩인 건 알겠어요.
근데 그렇게 해도 매출 안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CTR(클릭률) → 상세페이지 체류율 → 신뢰성.
딱 이 3가지 순서대로 점검하시면 됩니다.
1. CTR (클릭률)

먼저 체크해 봐야 할 것은 CTR(클릭률)입니다. adbacklog의 25년도 메타 광고 보
고서에 따르면 전 산업군 평균 CTR은 1.5~1.8%라고 합니다.
만약 이보다 CTR이 낮은 상태라면? 애초에 고객들이 끌리는 콘텐츠가 아니라는 뜻
이죠. 이미지나 영상이 아쉽지는 않은지, 카피라이팅에 문제는 없는지 체크하고 새
롭게 만들어야 합니다.
고객들이 끌리는 콘텐츠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모르겠다면, 아래 영
상을 참고해 주세요.
반대로 이미 충분히 CTR이 나오고 있는 상태라면? 콘텐츠는 고객들에게 충분한 반
응을 보이고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막상 상세페이지를 보니 딱히 구매해야 할
이유를 못 느끼는 거죠.
이런 경우엔 다음 파트인 상세페이지 점검 파트로 넘어가셔야 합니다.
(참고로 저희 평균 CTR은 3~4%입니다 ^^)


2. 상세페이지 체류율
대표님들도 SNS나 유튜브 보고 혹해서 샀다가 후회한 경험 많으실 겁니다. 일반 소
비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 경험이 많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광고나 상세페이지
를 볼 때 이 상품이 정말 나에게 필요한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 이 상품을 안 사면 생기는 불편함
• 우리 상품은 다른 상품이랑 뭐가 다른지
• 우리 상품이 왜 필요한지
위와 같은 요소들로 우리 상품을 사야만 하는 이유를 만드는 게 상세페이지의 핵심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우리 상세페이지가 위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체크하긴
힘들죠. 그래서 보면 되는 지표가 바로 상세페이지 체류율입니다. (cafe24 기준 접속
통계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먼저 상세페이지 통계에서 상품 페이지 통계창에 들어가주세요. 맨 우측을 보시면
[방문당평균]. 즉, 체류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1초 미만, 5분 이상의 경우 허수 비중이 높습니다. 그래서 조금 더 정확한 값
을 알고 싶다면. 1분 미만, 5분 이상 값을 제외하고 중간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셔도
됩니다.
다만, 이 역시 정확한 값을 계산하긴 어렵고 방문당평균과 큰 차이는 없어서, 그냥
방문당평균 값을 봐주셔도 됩니다.
| 제품 유형 | 괜찮음 | 좋음 | 매우 좋음 |
| 저가 (7만 원↓) | 45~75초 | 75~120초 | 120초~ |
| 중가 (7~20만 원) | 60~90초 | 90~150초 | 150초~ |
| 고가 (20만 ↑) | 90~120초 | 120~180초 | 180초~ |
대표님 상품 가격대로 비교했을 때 위 기준이 충족된다면, 적어도 고객들이 흥미는
느낀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정작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흥미는 느꼈지만 반대로 아직 확신이 안 서
있는 상태인 거죠.
이런 경우는 상세페이지 자체의 설득력이 부족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신뢰성 문제
가 겹쳐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가장 먼저 상세페이지에서 설득력이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 기존 상세페이지와
A/B 테스트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이 과정을 반복하더라도
전환율에 큰 변화가 없다면...
3. 신뢰성 체크
마지막으로 체크해 볼 것은 신뢰성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우리 상품은 이렇게 믿을
만한 사람이 사용한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
입니다.
체크해 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네이버/인스타/유튜브에 지금 당장 우리 브랜드명
혹은 상품명을 검색해 보세요. 그리고 검색 결과에 [신뢰할 수 있는 인물] 혹은 [신뢰
할 수 있는 최신 글들]이 있는지 체크하시면 됩니다.
만약 검색해 봤을 때 아무것도 안 나온다면? 그건 소비자 입장에서 우리 브랜드가
실존하는지 의심할 수 밖에 없겠죠?
소비자들은 기본적으로 상세페이지에서 흥미를 느끼더라도 의심을 가집니다.
그래서 네이버/인스타/유튜브 등에 검색하죠. 검색 결과에는 실제 후기가 남고, 제3자의
평가가 드러나니까요.
그래서 신뢰성은 '직접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이 말해주는 구조'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걸 업계에서는 흔히 시딩(seeding)이라고 부르죠. 리뷰, 인플루언서 언급,
블로그 포스팅, 커뮤니티 후기, 유튜브 영상 같은 것들입니다.


자본이 많다면 [신뢰할 수 있는 인물]을 모델로 기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김종국의
아르기닌 혹은 더벤티가 지디님을 모델로 기용한 것처럼요.
이 방법은 고객들의 신뢰를 이끌어낼 뿐만 아니라, 경쟁사와 큰 차별점이 없더라도
대표 모델이 쓴다는 이유만으로도 차별점이 되고 사야 할 이유가 되죠.
하지만 저희를 포함해 이 글을 보시는 대표님들 대부분, 그 정도의 자본이 있진 않
을 것입니다. 그런 경우 가장 추천드리는 방식이 바로 [신뢰할 수 있는 최신 글들]
입니다.
어디서 검색하든 제3자가 작성한 우리 상품에 대한 후기 글들이 있는 것이죠. [신뢰
할 수 있는 인물]에 비해서 신뢰성은 다소 낮을 수 있어도, 많은 사람들의 후기글이
어디서든 보이면 '아 여기가 요즘 뜨는 상품/브랜드구나'를 느끼게 하는 거죠.
이걸 흔히 업계에서는 마케팅 퍼널이라고 부릅니다.
온라인 사업 마케팅, 광고비 1000만원은 아껴줄 5단계 베이스 이론
"이걸 몰라서 매출이 안 올랐었군요.." "3달만 일찍 알았다면 1,000만 원은 아꼈을 텐데..&...
blog.naver.com
정리하겠습니다. 페이스북광고비용, 콘텐츠 1개당 2만 원이면 충분합니다.
만약, 콘텐츠당 2만 원씩 광고를 아무리 돌려도 매출이 안 나온다면? 아래 3가지를
점검하고 문제점을 하나씩 개선해 보세요.
• CTR(클릭률) 1.5~1.8% 이상인지
• 상세페이지 체류율 45~75초 이상인지
• 신뢰성 콘텐츠가 충분하게 있는지
만약 이 3가지를 모두 점검해도 매출이 그대로라면 아래 링크를 통해 문의를 남겨
주세요. 문제가 무엇이고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하는지 하나하나 컨설팅 해드리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페이스북광고비용, 그렇게 많이 써도 소용없는데.. (ft. 예산 딱 정해드립니다.) 글
을 마치겠습니다.





'온라인 광고 > SNS 광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메타 홍보 비용, 처음엔 하루 2만 원으로 충분한 이유 (인스타 페이스북) (0) | 2025.09.19 |
|---|---|
| 메타 광고 비용, 쇼핑몰이면 ㅇ만 원으로 시작하세요. (인스타, 페이스북) (1) | 2025.09.15 |
| 대출 광고, 이것들 안 지키면 인스타 광고 싹 다 정지됩니다 (1) | 2025.09.11 |
| 온라인 광고 성과가 안 나올 때, 대행사는 사실 이렇게 생각합니다. (0) | 2025.09.08 |
| 온라인 쇼핑몰 마케팅, 대행사 써도 매출 제자리인 이유 (ft. 평생 써먹는 공식) (0) | 2025.09.05 |